산림청(청장 이돈구)은 2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를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하고 본격적인 산불방지 비상체제에 돌입한다.
봄철에는 연간 산불건수의 51%가 발생하고 피해면적도 1년 전체 피해의 84%를 차지할 만큼 산불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근 10년간 연평균 387건의 산불이 발생했고 평균 734ha의 피해를 입었는데 이 중 봄철 발생건수가 196건이었다. 이 기간의 피해면적도 평균 614ha에 달했다.
산림청은 특히, 올해 큰 행사인 제18대 대통령 취임식(2월 25일) 전후로 발생할 수도 있는 행정력 분산을 차단하기 위해 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2월 20일∼3월 4일)을 운영한다. 산림청은 산불헬기가 전국 어디에서든지 30분 이내에 진화에 투입되도록 자체 보유한 47대의 헬기의 가동률을 90% 이상으로 높이기로 했다. 또 공중과 지상에서의 입체적 진화를 위한 기계화진화대와 야간산불 및 대형 산불을 전담할 광역산불진화대도 운영된다.
한편, 논·밭두렁 소각철이 산불집중 시기와 겹치는 것을 막기 위해 3월 중순부터는 소각금지기간이 별도로 설정돼 대대적인 인화물질 제거 사업도 함께 벌어진다. 또 산불위험이 높은 지역은 입산통제구역(전체 산림의 30%)으로 지정하고 산불취약지의 등산로를 일부 폐쇄(전체 등산로의 50%)해 입산객 실화로 인한 산불도 사전 차단한다.
김현식 산림보호국장은 “산림 인접지역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논·밭두렁, 농산 폐기물의 소각행위를 일체 하지 않는 등 작은 불씨로부터 소중한 산림을 지킬 수 있도록 예방활동에 적극 동참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한국농촌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