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중국 절임배추 영상 보도 이후 김치 수입량이 4월부터 4개월 연속 감소해 7월 수입량이 지난해 같은달보다 27% 준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올해 7월 김치 수입량이 전년 동월 대비 27.0% 감소한 16.6천톤으로 집계됐다고 17일 밝혔다.
월별 김치 수입량 및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은 3월 25.2천톤 · 24.1%이었으나, 4월 18.1천톤 · △7.2%, 5월 21.1천톤 · △13.2%, 6월 17.9천톤 · △21.8%, ’21.7월 16.6천톤 · △27.0%이었다.
전년 동월 대비 김치 수입 감소량은 4월 1.4천톤, 5월 3.2천톤, 6월 5천톤, 7월 6천톤으로 감소 폭이 증가했다.
수입산 김치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이 줄어드는 가운데 전국적으로 국산김치 자율표시 업소는 7,300여 곳으로 늘어났다.

국산김치 자율표시제는 국산김치자율표시위원회가 100% 국산재료로 만든 김치를 사용하고 있는 음식점 등을 인증해주고, 소비자가 국산김치 사용 인증 업소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인증마크를 부착해주는 제도다.
국산김치자율표시위원회 관계자는 “그동안 국산김치 자율표시제는 전남과 충남을 중심으로 증가해 왔으며 경북, 전북, 충북, 경남 등도 참여업소가 늘어나고 있다. 업종별로는 본죽, 한솥, 고봉민김밥 등 프랜차이즈 업체가 대다수를 차지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21년 7월 기준 김치 수출액은 99.3백만불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하였으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전년도 김치 수출(’20년, 144백만불)에 이어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다.
농식품부는 앞으로도 국내외에서 국산 김치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 나가며, 김치 종주국으로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