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 송아지 가격폭락 사태는 산업기반 붕괴 적신호

  • 등록 2023.02.02 10:46:42
크게보기

낙농육우협회 성명, 축산현장 심각성 파악 신속한 정부대책 촉구

젖소 송아지 가격폭락이 가히 심각수준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농협 젖소산지가격 발표 자료에 따르면, 젖소 암송아지 초유떼기(젖소용) 가격은 전년(평균) 대비 91.0% 감소한 1만9천원이며, 젖소 수송아지 초유떼기(육우용) 가격은 전년(평균) 대비 93.1% 감소한 3만7천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상에 잡히는 수치에 불과하며 실제 현장에선 공짜 또는 단돈 만원에 판매해도 사가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거래마저 단절되었다. 이에 따라 사료값 폭등 및 사육공간 부족에도 목장마다 제때 송아지를 판매하지 못해 키우고 있는 실정으로 농가 채산성 악화를 부채질하고 있다.  

 

송아지 가격 폭락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먼저 육우용 젖소 수송아지 가격폭락의 원인은 육우고기 도매가격 하락과 사료값 폭등에 따라 육우농가의 사육의지가 크게 위축되어 젖소 수송아지 입식을 포기하는 데 있다. 실제 군납의 급격한 축소방침과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위축 등으로 인해 지난해 12월 기준 육우고기 도매가격이 ’21년 1월(11,788원/Kg)대비 20.4% 폭락한 9,387원/Kg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도 회복세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젖소 암송아지 가격폭락의 원인은 원유감산정책 지속 및 사료값 폭등에 따른 채산성 악화로 인해 낙농가들이 암송아지 사육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기준 1세미만 젖소암송아지 사육두수(75,582두)가 ’20년 대비(81,692두) 7.5%나 감소하였다. 

 

젖소 송아지는 가까운 미래의 우유와 육우고기 생산의 원천으로 산업기반 유지를 위해 정부대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낙농가 및 육우농가 사료비 부담 완화지원, 젖소 수송아지 입식지원, 육우고기 군납물량 확대, 육우고기 유통 및 소비활성화 지원(농협 하나로클럽 육우입점 등)을 비롯한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1998년 7월 우유 및 쇠고기 수급안정을 위한 긴급대책 발표, 2008년 육우산업 발전대책 발표 등 과거 정부가 적기에 대책을 발효하여 시장을 안정시킨 사례를 교훈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대책의 핵심은 농가 사육의지를 되살리고 사육기반을 유지해 나가는 데에 있다. 적기에 정부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하지 않는다면 젖소 송아지가격 폭락사태는 장기화 될 것이며 산업 기반붕괴는 자명하다. 특히 육우고기는 국내 쇠고기 시장에서 수입쇠고기와 직접 경쟁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소중한 국내산 육(肉)자원이다. 정부가 현 사태의 심각성을 올곧이 파악하여 신속한 대책을 수립해 줄 것을 촉구한다. 

편집팀 a1@livesnews.com
Copyright @라이브팜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A1축산(주) 전화 : 02-3471-7887 / E-mail : a1@livesnews.com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로 1길 14 삼일프라자 829호 Copyright ⓒ 라이브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