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회장 김병원)은 27일 경기 안성에 양곡의 집배송·판매 등 물류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농협양곡 안성유통센터’를 개장한다. 부지 69,300㎡(21,000평), 건축면적 8,591㎡(2,600평)의 규모로 저온창고 500평, 공장동 1,510평, 사무실 등 지원시설 590평을 갖추고 있으며, 산지농협·RPC·거점센터 RPC로부터 공급받은 양곡을 수도권에 유통하는 양곡물류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 원료곡은 미곡류(찹쌀·현미·흑미 등), 맥류, 두류, 잡곡류, 깨류 등 34개 품목이며, 정선·혼합 능력 약 11,000톤(정선 2톤/시간당, 혼합 1톤), 보관 시설 500평(보관능력 1,500톤), 자동 소포장기, 로봇자동적재시스템 등 상품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앞으로 농협양곡 안성유통센터는 경쟁력을 갖춘 지역농협 미곡의 판매를 책임지고, 잡곡 정선 ·혼합 등 원천기술이 부족한 지역농협의 미곡은 상품화를 지원하여 지역농협 양곡 전반에 대한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지역농협 미곡·잡곡 사업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가게 된다. 또한, 시장 요구에 맞는 신상품 개발을 통해 대형마트, SSM매장, 식자재 전문매장에 맞춤형 상품을 공급하는 등 판로 확보도 적극
농협(회장 김병원)은 27일부터 후원형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유캔스타트와 함께 '가뭄, 견뎌줘서 고마워!' 특별전을 실시한다. 이번 특별전은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업인을 돕고, 농업ㆍ농촌에 대한 범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해 기획되었다. 크라우드펀딩은 후원하는 금액만큼 농산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27일부터 유캔스타트 홈페이지(www.ucanstart.com)에서 시작하며, 5kg단위로 판매된다. 후원 대상은 충북 옥천군 일대에서 생산된 수미품종 감자로 가뭄 탓에 크기는 작지만 일조량이 많고, 수분을 많이 함유하지 않아 평년보다 맛이 월등하다. 김원석 농협경제지주 농업경제대표이사는“꿋꿋이 가뭄을 버텨내고 당당하게 자라난 우리 농산물이 농업인뿐만 아니라 후원자들의 삶에도 희망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창길)은 지난 12일 카펙스 아카데미(KAPEX Academy) 장기연수 프로그램 입교식을 개최했다. KAPEX(Korea Agricultural Policy Experience for Food Security: 개도국 식량안보를 위한 우리나라 농정성과확산) Academy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4년째 진행하고 있는 글로벌 인재양성 프로그램으로 금년에는 네팔, 우즈베키스탄, 콜롬비아 농업·농촌 분야 공무원 및 연구원 9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1일부터 9월 14일까지 3개월간 진행되고 있다. KAPEX 사업은 저개발국 수요에 도달할 수 있는 국제 협력 사업을 발굴하여 궁극적으로 대상국 식량안보와 빈곤탈피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와 함께 장기연수 프로그램은 저개발국 공무원 및 연구원들이 농업·농촌 관련 정책수립 및 추진 역량 개발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다. 연수는 농·축산물 생산 및 유통, 농업경영, 농촌개발 등 각 분야 정책현황에 대한 30회 이상의 강의 및 현장 학습으로 계획되어 있다. 또한, 한국농촌연구원의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연수생 관심분야에 대한 국가별 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각 대상국 정책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
농협(회장 김병원)은 14일 농협중앙회 신관 대회의실(서울시 중구)에서 농협경제지주 계열사 식품안전관리 담당자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하절기 농식품 안전관리 특별대책회의’를 개최하고, 하절기 식품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특별관리 체제를 본격 가동한다. 8월까지 범 농협 경제사업장 식품안전 관리를 총괄할‘농식품 안전 특별상황실’을 운영하고, 농협식품연구원 주관으로 전국 농협 하나로마트ㆍ농식품 가공공장 등에 대한 일제 점검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원석 농협경제지주 농업경제대표이사는“기후 변화로 인해 식품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 하절기가 빨리 찾아오고 있다”며,“농협은 국민들께서 안전한 우리 먹거리를 안심하고 드실 수 있도록 선제적 농식품 위생ㆍ안전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8일 경북 상주 벼 시험재배 논에서 화동, 모동, 낙서 초등학교 3학교 어린이 40여 명을 초청해 모내기 체험행사를 가졌다. 이번 행사는 농촌진흥청 상주출장소(소장 강위금)가 상주지역 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2014년부터 실시해 온 ‘농업현장학습 교육기부’의 하나로 마련한 세 번째 행사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어린이들이 직접 손 모내기를 체험하며, 벼 재배과정과 농업인의 노고에 대해 배우고, 우리 쌀의 우수성과 우리 농산물의 소중함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쌀 소비촉진을 위해 어린이들에게 모내기 한 ‘설레미’ 쌀을 200g씩 증정하며, 부대행사로 이삭이 핀 보리와 밀, 호밀 등 다양한 맥류 품종들의 형태 및 생육상태를 관찰하기도 했다. ‘설레미’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밥맛 좋은 중산간지 적응 조생종 벼 품종으로 쌀알이 맑고 투명하며 밥맛이 뛰어나다. 농촌진흥청 강위금 상주출장소장은 “어린이들이 전통 농법인 손 모내기를 체험함으로써, 한 톨 쌀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우리 농업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성분인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이 높은 쌈배추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쌈채소는 배추종 중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야생자원의 유지배추와 글루코시놀레이트가 낮은 청경채를 교잡해 개발했다. 글루코시놀레이트 중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글루코라파닌과 글루코나스터틴이 일반배추보다 10배∼20배 높다. 양배추, 브로콜리 등 십자화과 채소에는 식물에만 존재하는 물질인 파이토케미칼 성분의 하나인 글루코시놀레이트도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글루코시놀레이트는 몸 안의 활성산소의 축적을 막아줘 세포손상을 줄이고, 암과 관련된 호르몬 생성과 종양을 억제할 뿐 아니라 병해충을 예방하면서 식물이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성분으로 주목 받고 있다. 반면, 김치로 먹는 결구배추, 청경채 등 배추종들은 양배추, 브로콜리에 비해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김치로 먹는 배추는 곁가지가 발생하지 않고, 변온과 일정기간 야간저온이 쌓이면 잎이 겹쳐서 둥글게 속이 든다. 반면 이번에 개발한 쌈배추는 곁가지가 많이 발달해 한 번에 많은 잎을 수확할 수 있다. 또한 이번 쌈채소는 소포자배양이란 품종개발 기술로서 단시간에
농림축산식품부는 5월이후 기상전망으로 보아 가뭄양상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보고, 가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5월 25일 장관(김재수) 주재로 긴급 가뭄상황점검회의(9개도 부지사 참석)를 개최하는 한편, 지자체와 농촌진흥청, 한국농어촌공사 등과 공조체제를 구축, 가뭄 총력대응 체제에 돌입키로 했다. 금년(1~5월) 강수량은 158㎜로 평년 282㎜의 56% 수준이고, 농업용 저수지의 전국 평균저수율(5.24일)도 64%로 평년(76%)의 84%로 낮은 상황이며, 기상청에서는 앞으로 6~8월의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향후 경기도와 충남지역을 비롯하여 전국으로 가뭄이 확산될 것이 예상되므로 ‘농업가뭄 위기대응매뉴얼’에 따라 가뭄 “주의단계”를 발령하고, 5월 25일부터 가뭄해소시까지 실시간 가뭄상황 관리 및 대책 추진을 위해 ‘가뭄대책상황실’을 설치·운영한다. ‘가뭄대책상황실’은 식량정책관을 주축으로 급수대책반, 재해대응반, 기술지원반으로 구성하여, 가뭄 상황, 급수대책 추진상황 점검과 가뭄 극복을 위한 긴급 급수대책비 등을 지원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의 협조체제를 유지하는 등 범부처적으로 가뭄극복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영양군농업기술센터에서는 23일 오후 1시30분부터 4시간 동안 고품질 안전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농산물우수관리(GAP) 기본교육을 농업기술센터 2층 대회의실에서 실시한다. 지난해에도 4회에 걸쳐 313명의 농업인이 기본교육을 이수하였으며, 농산물우수관리(GAP) 인증을 받고자 하거나, 농산물 우수관리 기준에 따라 농산물을 생산 ? 관리 하고자 하는 자는 농산물우수관리(GAP) 기본교육을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며, 작업장내 공동작업자가 실천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이번 전반기 GAP 기본교육은 군청 홈페이지와 읍면을 통해 홍보하여, 120여명의 관내 농업인들의 신청을 받아 GAP 인증 및 친환경 농산물 관리에 대하여 전문가를 초빙하여 실시하며, 교육 수료자에 대해서는 당일 이수확인서를 발부하여 농업인 불편해소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 하반기에도 농업기술센터에서는 교육수요 조사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지역 농업인들의 요구에 맞게 농산물 우수관리 기본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며, 농업인들에게 필요한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국내 사료용 맥류의 용도 다양화를 위해 발효사료용 밀의 수확적기와 사료 조제방법을 소개했다. 사료용 곡물 수입량은 사료용 밀 1,495천 톤(2015년)을 포함해 해마다 늘고 있으며, 우리나라 곡물자급률은 23.8%(2105년)로 매우 낮은 실정이다. 국내 사료용 밀은 일반 사료용 맥류(청보리, 귀리 등)보다 추위에 강해 중·북부지역까지도 확대 재배가 가능하다. 건조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일반 밀에 비해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고, 재배기간을 14일 정도 앞당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곡실발효사료용 밀은 적기 수확 후 톤백에 45일 이상 저장한 다음 급여해야 사료가치가 높다. 곡실발효사료용 밀의 수확적기는 출수 후 38일∼40일로 수량성은 479kg/10a, 수분함량은 40∼45% 정도이다. 밀 곡실발효사료 만드는 법은 적기에 수확한 밀을 곡물용 톤백 (90cm*90cm*148cm, 800kg)에 비닐봉지를 넣고, 수확한 밀 알곡과 발효제(처리농도: 106CFU) 1L를 동시에 처리한다. 곡실발효사료용 밀의 발효품질특성은 pH4.0 이하, 젖산 함량 5.5%, 조단백질 함량 14%로 사일리지 1등급에 해당되며 사료로써 가치가 매
수제맥주의 인기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다양한 맛과 향을 지닌 수제맥주의 풍미를 즐기길 원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국산 쌀가루와 맥아(엿기름)를 섞어 제조한 쌀맥주를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시음평가와 설문조사 결과, 맛과 향, 종합기호도 측면에서 선호도가 높다고 밝혔다. 이번 시음평가에 사용한 쌀맥주는 국립식량과학원에서 개발한 특허기술인 ‘한가루 쌀 품종을 이용한 쌀맥주 제조방법’과 수제맥주 제조업체의 오랜 기술을 결합해 만든 제품이다. ‘한가루’는 쌀알이 부드러운 연질미로 일반 쌀에 비해 전분입자가 둥글고 조직이 치밀하지 않기 때문에 당화될 때 전분이 뭉치지 않고 발효가 잘되는 쌀 품종이다. 맥주 선택기준에 대한 설문 응답으로 맛(76%), 향(15%), 가격(5%), 브랜드(3%), 기타(1%)순으로 응답해 맥주선택에 있어 맛이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맛에 대한 맥주 시음 평가 결과, 쌀맥주가 가장 높은 선호도(4.77)를 보였다(수제 맥주 4.53 > 라거맥주B 4.23 > 라거맥주A 3.64). 쌀맥주가 시판될 경우, 응답자의 72%가 ‘구매의향 있다’고 대답을 했는데, 그 이유로는 부드러운 목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