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구제역 예방 ‘나’부터 실천하자
금년 1월 들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다시 발생하여 닭·오리 사육농가들을 시름에 잠기게 하더니, ‘구제역 백신접종 청정국’ 지위를 획득한지 불과 한 달이 조금 지난 7월부터 경북 의성·고령에 이어 경남 합천의 돼지 사육농가에서 구제역이 또다시 발생하여 가축방역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그동안 가축방역기관과 축산관련 생산자단체는 구제역 유입방지 및 재발방지를 위해 백신접종, 농장 차단방역, 주기적인 소독 등 청정화 조기달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 지난 5월 ‘구제역 백신접종 청정국’의 지위를 획득할 수 있었다.그러나 지난 7월 돼지에서의 구제역이 발생은 그동안 피 땀을 흘려 일궈놓은 청정국 지위를 하루아침에 물거품으로 만들었다. 구제역 역학조사위원회에서는 발생원인을 일부 돼지에 대한 백신접종이 되지 않았거나 백신접종이 부적정하게 이뤄졌기 때문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구제역은 소독 등 농장에서의 차단방역과 함께 ‘백신접종’이 되면 전파·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질병이다. 지난 ’10년 11월~’11년 4월까지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발생했을 때 구제역 백신을 접종함으로써 구제역을 종식시킬 수 있었던 것처럼 백신의 방어효력은 충분한 것으로 평가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