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한우협회는 24일 오전 11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정문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값 회복 촉구를 위한 선포식'을 가졌다. 한우협회는 이날 기지회견에서 "한우산업을 지탱해오던 소규모 번식농가들이 경영난으로 폐업을 선택하면서 지난해 2분기 13만7000가구이던 50두 미만 중소농이 올해는 11만7000가구로 2만가구나 줄었다."고 지적하고 현재 전국의 한우농가들은 소값급락으로 도산직전에 놓여있다며 정부의 특단의 조치를 요구했다.또한 협회는 정부의 암소수매와 농협중앙회의 사료값 인하 등을 요청과 함께 모두 11개의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한우협회는 이날 기자회견후 오는 29일까지 집행부 단식농성에 돌입하고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30일 충북 음성공판장에서 출하저지 등 장기투쟁에 돌입하겠다고 선포했다. 이와 더불어 한우농가의 계속되는 요구에도 불구하고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은 경우'청와대 한우반납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기자회견문우리 한우농가들은 2001년 쇠고기 전면 수입개방에도 개량과 생산비 절감, 품질고급화 등 피나는 노력으로 한우산업을 일구어 왔다. 그러나 개방 후 12년, 우리 한우농가들은 2008년부터 6년째 이어지는 적자로 인해 망연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최형규)은 1일 본부 소회의실에서 최형규 원장과 권희구 노조위원장을 비롯한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노사 상생협력 선포식'을 개최했다.이번선포식에서 노사는 첫째, 일하는 노사 상생하는 노사, 둘째, 최고의 대국민 서비스 제공, 셋째, 청렴한 업무처리와 불합리한 노사관행 개선, 넷째, 사회적 책임 실천에 상호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선포식에 앞서 축산물품질평가원은 '2013 인력운영 효율성 30% 달성'을 위한 업무 프로세스 개선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각 사업부서별로 자체 운영계획을 마련하는 등 효율적인 인력운영과 관련 규정 정비, 유연근무제 확대, 연장근로 발생시간 줄이기를 통한 업무생산성을 높이고 예산을 절감하고자 전사적으로 본 운동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또한 조직문화 개선의 일환으로 즐거운 직장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국민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노사 간 실무협의 중심의 업무협의를 통해 갈등과 분쟁을 사전예방하고 있으며, 매년 전 직원 급여 중 일부를 반납하여 조성한 사회공헌기금을 활용하여 소외계층에 대한 사회공헌활동에도 노사가 적극적으로 앞장설 것을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