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온도 32℃ 이상 유지·물 잘 먹는지 수시 체크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겨울철 혹한에 대비해 닭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계사 관리 요령 등 양계농가에서 지켜야 할 사항에 대해 당부했다.닭은 주령에 따라 적정 사육온도가 다르고 사양관리방법이 달라 각 사육단계에 맞게 관리를 해야 한다. 특히 어린 병아리는 저온에 매우 민감함으로 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를 잘 해야 한다. 큰 닭은 저온에 대한 저항력이 비교적 강해 환경온도가 어느 정도 떨어지더라도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수 있다.하지만 바깥기온이 많이 내려가면 체온 유지를 위해 사료섭취량이 증가하고 생산성은 떨어진다. 사료섭취량은 20℃ 이하에서는 환경온도가 1℃ 낮아짐에 따라 약 1 %씩 증가하므로 계사내 적정온도를 유지해 사료비를 절감해야 한다.또한 온도에 가장 민감한 1주령 이내에는 저온에 노출되면 폐사율이 증가하므로 32℃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겨울철에 밀폐된 상태에서 닭을 사육하다보면 닭의 호흡에 의한 산소감소와 이산화탄소 증가, 열풍기 가동에 의한 산소 소비, 계분에서의 유해가스 발생, 먼지 등으로 인해 사육환경이 나빠져 생산성이 떨어지고 호흡기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겨울철에도 최저 환기를 통해 계사내의 오염된 공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