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으로 천연 공액리놀레산 시대 연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콩에서 체지방 감소에 효과가 있는 공액리놀레산의 생산 효율을 높인 기술의 실용화를 앞두고 있다고 13일 밝혔다.최근 농촌진흥청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콩에서 공액리놀레산 생산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개발하고 균주 2종을 선발해 특허를 냈다.이번 연구에서 우리나라 전통 발효 식품에서 공액리놀레산 생산 능력이 2배 이상 뛰어난 락토바실러스 균주 2종을 골랐다.또한, 유산균 발효 전에 효소를 처리해 리놀레산이 공액리놀레산으로 전환하기 쉽게 만들었다.발효 전 효소 처리와 최적 유산균을 이용해 공액 리놀레산 생성 효율을 2.3배 높였다(70 → 160 ㎍/ml).이 기술을 이용하면 천연 공액리놀레산이 들어있는 콩 요구르트, 콩치즈, 콩고기, 건강 기능성 식품 등 다양한 형태의 다이어트용 콩 발효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산업화를 위한 균주 선발과 발효 방법 등이 정립돼 본격적인 실용화가 가능하며, 관련 산업체와 기술 이전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공액리놀레산(CLA)은 2009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는 고시형 기능성원료로 인정받았다.기존에 판매 중인 공액리놀레산은 화학적으로 강산·강염기로 합성하기 때문에 식품첨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