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우리 쌀로 쌀국수·파스타 만든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쌀 가공용으로 적합한 벼 ‘미면’을 개발했다고 밝혔다.다수성 통일형 벼인 ‘미면’은 높은 온도에서 전분의 호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화가 빠르며 쌀국수를 만들 때 요리 후 면이 퍼지는 현상(부품성)이 낮아 질 좋은 단체급식 쌀국수로도 적합하다.또한, 최근 인기 있는 쌀쌈(rice paper)과 쌀파스타 제조가 가능한 국내 유일의 품종으로서 밀가루 대체가 가능한 유망한 품종이다.‘미면’의 쌀가루는 수분 흡수력이 적고 제빵 시 부피가 크게 늘어나 제빵적성에서도 매우 우수한 특성을 보여 쌀가루 업체의 관심과 소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최근까지는 쌀국수 전용품종인 ‘고아미벼’가 일부 산업체와 연계해 계약재배를 하고 있었으나 도복(작물이 비나 바람에 쓰러지는 일)과 낮은 수량성 등 농업적 특성이 부족해 재배가 확대되지 못했다.반면, ‘미면’은 영호남 및 중부 평야지 재배에 적합한 통일형 중생종 품종으로, 고아미벼(503kg/10a) 대비 18 % 증수된 595㎏/10a의 수량성과 내도복성, 도열병 저항성 등 재배 안전성이 크게 강화된 품종으로써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미면’은 올해 계약재배 단지를 만들고 쌀 가공업체와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