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가바·칼슘·철분 듬뿍 ‘눈큰흑찰’ 개발

집중력과 기억력 높이는 GABA, 일반벼보다 9배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배아(쌀눈)가 일반벼에 비해 2.9배 정도 큰 ‘눈큰흑찰’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쌀의 배아(쌀눈)에는 각종 필수아미노산과 생리활성물질이 많이 함유돼 있다. 그 중 GABA(γ-aminobutyric acid)는 뇌세포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두뇌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집중력과 기억력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눈큰흑찰’의 현미는 가바(GABA) 함량이 일반벼에 비해 9배 정도 높고 발아된 현미는 그 함량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칼슘과 철분 등 각종 무기성분이 1.5∼2배 정도 높으며 항산화 물질인 안토시아닌을 함유하고 있다.

지난 3년간(2010∼2012) 지역적응시험 결과, ‘눈큰흑찰’벼는 표준 품종인 ‘조생흑찰’에 비해 출수기가 1일 빠른 조생종이며, 현미수량은 354kg/10a 정도로 도열병에는 강한 편이나 흰잎마름병과 벼줄무늬잎마름병에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큰흑찰’ 벼의 적응지역은 중부 및 남부지역 평야지이며, 종자증식 과정을 거쳐 2015년부터 농가에 본격적으로 보급할 예정이다.

‘눈큰흑찰’은 현미나 발아현미를 이용한 밥쌀용뿐만 아니라 이유식, 선식, 음료 등 다양한 용도의 가공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 신소재개발과 남민희 과장은 “이번에 개발한 ‘눈큰흑찰’ 벼는 쌀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국민건강 증진과 농가 소득향상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벼를 지속적으로 육성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