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한우

한우 12~24개월사이 비타민A 제한하면 근내지방 형성 도움

한우자조금, 비타민A·D 조절통한 한우 근내지방도 향상 연구결과 발표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근수)는 한국농수산대학 김완영 교수팀에게 위탁한 ‘비타민 A 및 D 조절을 통한 한우의 근내지방도 향상에 관한 연구’ 최종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비타민 A 및 D의 결핍이 근내지방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비타민 결핍에 의한 고급육생산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농가차원의 획기적인 고급육 생산의 사양관리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진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우 사육 시 비육전기(12~18개월)에 비타민A를 제한급여하면 근내지방(마블링) 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개월령의 한우 거세우에게 8개월 동안 비타민A를 전혀 공급하지 않고 결핍을 유도했을 때 근내지방도 지수(6.73)가 공급했을 때(5.73)보다 약 1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근내지방 분화와 증식이 왕성한 12개월령~24개월령 사이에 비타민A를 제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우농가가 사양관리를 실시한다면 보다 효율적인 고급육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결과 보고서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조사연구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타민 A 및 D 조절을 통한 한우의 근내지방도 향상에 관한 연구’결과 요약

□ 연구개요
  ○ 연구기관 : 한국농수산대학
  ○ 연구기간 : 2013.5.1. ~ 2015.4.30.
  ○ 연구목적
   - 비타민 A 및 D의 결핍이 근내지방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비타민 결핍에 의한 고급육생산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농가차원의 획기적인 고급육 생산의 사양관리 모델을 제시함

 

□ 연구 수행 방법
 ○ 공시축으로 비육전기(15개월령) 거세 한우 60두를 선정한 후, 총 4개의 처리구[대조구(C), 비타민 A 제한구(NA), 비타민 D 제한구(ND)와 비타민 A 및 D 제한구(NAND)]에 15두씩 배치하였음

 ○ 15개월령부터 23개월령까지 총 8개월 동안 처리구에 따라 비타민 A 및 D를 첨가하지 않는 방법으로 비타민 공급을 제한하였고 24개월령부터 26개월령까지는 비타민 A 및 D를 사료 원물의 0.05%(3,077IU/kg DM; 통상 수준의 1/2) 첨가하였으며, 27개월령부터 출하까지는 비타민 A 및 D를 0.1%(6,154IU/kg DM; 통상 수준) 첨가하여 비타민 A 및 D 공급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였음

 ○ TMR을 사용한 이유는 최근 한우농가에서 TMR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농가에서 원료사료를 선택하여 사료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임

 ○ 시험사료는 1일 2회 급여하였으며, 잔량의 측정을 통하여 매일 사료섭취량을 기록하였으며, 채혈은 15, 18, 21, 23, 26 및 29개월령에 실시하였고 체중은 채혈시기 및 출하시기에 측정하였음

 

□ 연구 수행 결과
 ○ 평균 1일 건물섭취량은 대조구 8.5kg, NA 8.6kg, ND 8.4kg, NAND 8.5kg으로서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음

 ○ 출하(31개월령) 시 체중은 대조구 778kg, NA구 785kg, ND구 780kg, NAND구 807kg으로 조사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음

 ○ 일당증체량은 대조구 0.75kg/일, NA구 0.75kg/일, ND구 0.73kg/일, NAND구 0.78kg/일로 조사되었으며,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음

 ○ 혈중 레티놀(retinol) 농도는 비타민 A의 공급 제한이 종료된 시기인 23개월령에 NA구(169.3μg/L) 및 NAND구(175.4μg/L)가 대조구(345.0μg/L) 및 ND구(326.7μg/L)에 비하여 약 50%정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제한 기간 중 가장 큰 감소를 보였음

 ○ 혈중 25(OH)D3 농도는 18개월령부터 ND구(24.0ng/ml)와 NAND구(24.5ng/ml)가 대조구(53.7ng/ml) 및 NA구 (61.8ng/ml)에 비하여 약 55% 정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21개월령 및 23개월령까지 비슷한 차이를 유지하였음

 ○ 거세 한우의 비타민 A 및 D 공급 제한은 도체중, 등지방두께, 배최장근단면적, 육량지수 및 육량등급에 영항을 미치지 않았음

 ○ 마블링지수는 NA구와 NAND구가 각각 6.73과 6.87로서 대조구 5.73보다 약 17% 및 20%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며 ND구(6.00)는 대조구에 비하여 마블링지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수치적으로(약 5%)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음

 ○ 비타민 A 조절을 통하여 한우육질이 10% 향상된다고 가정하면 연 300억의 부가가치가 창출되므로 매우 획기적인 사양관리 기법임

 

 

                         □ 농가 메뉴얼                             

 ○ 비타민 A 조절의 의미: 원료사료에 함유된 비타민 A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사료(배합사료, TMR) 중 비타민 A를 첨가하지 않는 것임

 ○ 비타민 첨가제 중  비타민 A 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것
   - 비타민 D 및 E 첨가 방법: 기준치 보다 3~5배 높게 첨가할 것
   - 비타민 A 조절 방법 : 사료의 제조 및 구입 형태에 따라 다름

 ○ 비타민 A 조절 준비 기간 : 육성기(6~12개월령) 동안 간에 비타민 A가 충분히 축적되도록 양질의 조사료를 충분히 공급하여야 함

 ○ 비타민 A 적정 조절 기간 : 12개월령부터 24개월령 사이, 즉 소의 상태를 보아가면서 6~8개월 동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함

 ○ 비육후기 비타민 A 조절 : 비육후기(25~39개월령)에는 비타민 A를 서서히 정상수준까지 증가시킴으로써 비타민 A 조절을 마무리함

 ○ 혈중 비타민 A(retinol) 농도 측정 : 비타민 A 조절 직후부터 1~2달 간격으로 혈중 레티놀(retinol) 농도측정을 의뢰하여야 함

 ○ 원료사료 선택의 중요성 : 사료 중 비타민 A(β-carotene) 함량을 파악함으로써 비타민 A 함량이 높은 원료사료의 사용을 금하여야 함

 ○ 비타민 A 조절에 의한 부작용 증세 및 처치 방법 : 경미한 부작용에는 조사료(양질 건초) 급여 또는 비타민 A 첨가만으로도 해결이 가능하며, 심한 경우에는 비타민 A 주사제를 사용하여야 함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