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없는 생활을 상상하기 어려운 요즘이다. 우리는 일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심지어 식사 중이나 화장실에서도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는다. 이러한 스마트폰 사용은 일상 생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며 때론 중요한 시간들을 앗아가기도 한다.
화장실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은 항문 및 복부에 압력을 높이고 배변 시간을 길게 만들어 항문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오래 앉아 있으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치질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 배변시 과도한 힘을 쓰면 복부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는 혈액 순환을 방해해 치질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스마트폰에 집중하면서 배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치질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변비로 이어지며 변비 역시 치질 발병의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화장실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고, 배변은 3~5분 이내에 마무리하는 게 좋다.
서울장좋은외과 오형민 원장은 “치질의 초기 단계에서는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개선이 가능할 수 있다. 40도 정도의 따뜻한 물에 앉아서 좌욕을 하는 것이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괄약근을 이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올바른 진료를 통해 처방된 약을 통한 치료도 초기 단계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더불어, 건강한 생활습관, 특히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여 변비를 예방하고 배변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질 초기 증상을 발견한다면 바로 항문외과를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치료를 받는 것을 미루기도 하지만,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항문 건강을 유지해야 한다. 장시간 앉아 있거나 스마트폰으로 인해 화장실에서 긴 시간을 보내는 생활습관 때문에 치질 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빠르게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