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과수농협연합회가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대표과일 선발대회’에서 경북 의성에서 사과를 재배하는 김부득(66) 씨가 대상(국무총리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김부득 씨는 7남매의 맏이로 부모님의 가업을 잇고 45여 년간 사과 농사를 이어오며, 현재 2.6ha(26,453㎡) 규모 과원에서 동북7호, 후지 등 품종을 재배하고 있다. “건강한 사과나무는 건강한 토양에서 나온다”라는 철학 아래 퇴비·아미노산,미량요소 등을 적기에 살포하고, 나리따식 수형을 중심으로 수세 균형과 광합성 효율을 높여 과실의 경도와 당산 비를 안정화했다.
김부득씨는 수입 개방 심화, 이상기후에 따른 병해충 증가, 농자재와 인건비 상승 등 복합적 위기 속에서도 생산비와 생활비 부담으로 빚을 지며 버텨왔고, 최근 품질 개선에 따른 소득 증가로 경영 정상화의 전기를 마련했다.
특히, 올해 봄 경북 지역을 덮친 대형산불 당시 과원 주변까지 불길이 번져 일부 농자재와 장비가 소실되는 피해를 겪었으나, 밤낮없는 진화와 방어선 구축으로 과수원과 저온 창고의 사과를 지켜냈다. 엄격한 과원 심사, 계측심사, 외관 심사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최고 영예에 올랐다.
김부득 씨는 “기대하지 않았던 큰 상을 받아 기쁘다”라며 “오랜 시간 함께 영농에 땀을 보탠 아내에게 가장 고맙다. 소비자께 안전하고 품질 좋은 사과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보답할 기회가 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대표 과일 선발대회는 과일 산업대전을 개최하면서 과종별, 품종별 다양한 과일류의 품질을 소비자의 선호 기준에 맞게 평가하여 국산 과일 소비 활성화로 과수산업 육성 및 농가 경영 안정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2011년부터 매년 실시하여 올해가 15회째가 된다.
올해 대표과일선발대회는 시·도별 일반과수 7과종 (사과·배·단감·감귤·포도·복숭아·참다래) 100점, 산림과수 4과 종 (밤, 호두, 감, 대추) 32점으로 총 132점을 대상으로 심사를 진행했다.
품목별 최우수상(장관상)은 ▲‘사과’ 부문 김대현(강원 양구군) ▲‘배’ 부문 김학용(세종특별자치시) ▲‘감귤’ 부문 오창악(제주 서귀포시) ▲‘포도’ 부문 이완용(경기 화성시) ▲ ‘복숭아’ 부문 강구일(경기 이천시) ▲ ‘밤’ 부문 이운흥(충남 공주시) ▲‘호두’ 부문 손종수(경북 예천군) ▲‘감’ 부문 박일상(경남 산청군) ▲‘대추’ 부문 문지숙(경기 안성시) ▲신품종 “배‘부문에 장동균(전남 나주) ▲신품종 ‘포도’ 부문 신주섭(경북 상주시) ▲ 신품종 ‘단감’ 부문 박문수(전남 영암군) ▲신품종 ‘참다래’ 부문 이현재(경기 화성시) 씨로 총 13명이 선정되었다.
대표과일선발대회는 대상 1점(국무총리상)과 과종별 최우수상 13점 (장관상)/ 우수상 13점(농촌진흥청장상 9, 산림청장상 4)/ 장려상 13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상 9, 국립산림과학원장상 4)/ 특별상 6점(한국과수농협연합회장상)으로 총 46점을 선발하고, 대상 5백만 원, 최우수상 2백만 원, 우수상·장려상·특별상은 각각 1백만 원이 수여된다.
한국과수농협연합회 박철선 회장은 “올해의 대상은 기후 재난을 이겨낸 현장의 땀과 기술, 그리고 품위 있는 품질경영의 결과”라며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국산 과일의 가치를 높이는 축제의 장에서 산업의 지속가능한 비전을 함께 펼치겠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대표 과일 선발대회에 대한 시상식은 27일 수상자 가족을 초청하여, 대상 1점, 최우수상 13점을 개막식 행사 때 시상하고, 우수상, 장려상, 특별상은 해당 지역 추천기관을 통해 전수할 계획이다.
출품한 과일은 27일 ~ 29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 개최되는 '2025 대한민국 과일 산업대전' 온오프라인 전시회에서 만나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