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년 5월게 우리나라도 ‘광우병(BSEㆍ소해면상뇌증) 위험 통제국’으로 지정될 전망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정부가 8월 또는 9월 중 세계동물보건기구(OIE) 사무국에 한국을 광우병 위험 통제국으로 지정해줄 것을 요청하는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OIE 과학위원회는 이 신청서를 검토해 적합하다고 판정되면 내년 5월 열리는 OIE 총회에서 광우병 위험 통제국 지정 여부를 최종 판정하게 된다. 광우병 위험 통제국이 되려면 소의 광우병 감염 여부를 검사한 결과인 ‘예찰 점수’가 최근 7년간 30만점 이상이어야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는 37만점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찰 점수는 질병 징후가 있어 광우병 감염이 의심되는 소를 많이 검사할수록 높아진다. OIE는 광우병 위험도에 따라 각국의 질병 등급을 ▲경미한 광우병 위험국 ▲광우병 위험 통제국 등 2종류로 나눈다. 질병 등급을 인정받지 못한 나라는 미결정 위험국에 해당하는데 한국은 여기에 속해 있다. 현재 OIE가 분류한 경미한 광우병 위험국은 싱가포르, 스웨덴, 호주, 노르웨이 등 11개국, 광우병 위험 통제국은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미국, 캐나다 등 32개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