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자본으로 쉽게 시작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다른 축종에 비해 사육이 쉬울 뿐만 아니라 웰빙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는 흑염소가 귀농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농촌진흥청(가축유전자원시험장 최순호 연구관)은 흑염소에 대한 농산부산물의 사료화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주요 농산부산물의 효율적인 이용방안 등 5가지 주제로 13일 전북 남원시농업기술센터에서 전국흑염소전업농협회(회장 강춘성)와 공동으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 행사에는 전국에서 흑염소 전업농가 300여명이 참석했으며 부대행사로 농가에서 사육하고 있는 우량 흑염소 전시 및 흑염소 축사시설 개선에 필요한 축산기자재를 한국축산환경시설기계협회(회장 이용구)에서 전시도 함께 있었다. 건국대 곽완섭 교수는 ‘농산부산물 사료자원화 이용전략’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농산부산물의 사료자원화는 고급축산물 생산과 사료비 절감의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위해 지역특유의 값싼 부산물사료 및 부산물의 재활용 체계 구축을 위해서 지자체가 재정적인 지원과 기술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의 이왕식 연구사는 ‘주요 농산부산물의 사료가치와 활용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농산부산물의 효율적인 사료자원화 이용을 위해서는 부산물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경제적인 면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부산물은 생산시기, 수분함량 등에 의하여 영양소 함량의 변이가 심하므로 수시로 사료가치를 점검해야 한다" 강조했다. 천리원영농법인의 박철호 대표는 ‘농산부산물사료를 이용한 흑염소 농장 경영사례’라는 주제발표에서 "농산부산물을 사료로 이용하는데 공급이 용이하지 못하고 지역에 따라 가격차이가 심하며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므로 지역별로 작목반을 구성하고 공동구매를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말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최순호 연구관은 ‘흑염소의 농산부산물사료 급여효과’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흑염소는 농산부산물을 사료로 이용하는데 가장 용이한 가축이나 사료비 절감을 위한 농산부산물사료를 이용은 발육저하와 질병발생으로 오히려 손실을 보게 되므로 균형있는 영양공급을 위해 사료배합에 신경써야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흑염소전업농협회에서는 지역별로 흑염소를 전시하여 다른 농장의 흑염소와 비교하여 농가가 스스로 종자개량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였으며, 축산환경시설기계협회에서 다양한 축산기자재를 전시하여 축사시설 현대화와 환경 개선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