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백신 접종 농장에서 구제역 발생시 감염축만 매몰하는 등 매몰 범위를 조정했다. 조정된 매몰범위는 구제역 백신 접종 후 14일이 경과된 농장(항체 형성농장)에서 구제역 발생시에는 ▲ 소의 경우, 감염된 개체와 백신 접종 후 태어난 송아지만 매몰 처분 ▲ 돼지는 종돈장, 일반 양돈장을 각각 구분하여 - 종돈장의 경우 : ①종돈·후보 모돈은 감염된 개체와 백신 접종 후 태어난 자돈 전부를 매몰, ②비육돈은 감염 돼지가 사육되고 있는 해당 돈방의 돼지 전부를 매몰 처분 - 양돈장의 경우 : ①모돈은 감염된 개체 및 예방접종후 태어난 자돈 전부를 매몰, ②비육돈은 감염된 돼지가 사육되고 있는 농장의 돼지 전부를 매몰 처분. 해당 농장 방역조치는 예방백신 접종을 실시한 이동제한 지역에 대한 조치와 동일하고 예방백신 접종 완료일부터 1개월이 경과된 후 임상검사 및 혈청검사를 실시하여 이상이 없으면 해제키로 했다.
충남 공주의 한우농가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방역당국은 충남 공주시 탄천면 한우농가 8두 규모에서 침흘림과 코에 수포, 식욕저하 증상을 보이는 한우에 대해 정밀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 농가는 구제역이 발생한 농장으로부터 46.5km 떨어진 곳에 있다. 검사 결과는 21일에 나올 예정이다.이로써 구제역 의심 신고 접수는 173건으로 늘어났으며, 이 중 126건이 양성으로 판정됐다(2건 검사 중).
경북 포항의 구제역 의심축이 양성으로 판정됐다. 방역당국은 지난 19일 경북 포항시 흥해읍 돼지농장에서 구제역 증상으로 의심되는 수포와 자돈폐사 신고가 들어와 정밀 검사를 한 결과 양성으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전국에 구제역으로 신고된 171개 농장 중 125개 농장에서 양성으로 확인됐으며, 매몰두수는 2백만두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강원도 축산기술연구센터에서도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정밀검사 결과 양성으로 판정됐다. 토종 칡소 등 우수한 토종 한우 483마리를 사육 중인 연구센터는 구제역 방지를 위해 지난 4일 예방접종을 마쳤으나, 이중 5마리에서 거품섞인 침흘림과 식욕저하, 잇몸에 수포 증상이 나타나 방역당국에 신고했다.
대구지역 한우농가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했다. 방역당국은 지난 17일 오후에 대구 북구 연경동 소재 한우농가에서 사육 중인 한우에서 거품섞인 침 흘림과 콧물 증상을 보여 정밀 검사 결과 구제역 양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이에 따라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해당 농가 살처분 및 반경 500m내 예방적 살처분을 실시했다. 이번 대구지역 구제역 발생으로 전국 발생농가는 122개 농가로 늘었다.
강원 삼척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방역당국은 강원 삼척시 미로면 한우농장에서 사육 중인 한우에서 거품섞인 침흘림, 잇몸·콧등에 궤양 증상을 보여 정밀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169건의 구제역 의심 신고 중 122건이 양성으로 확인됐다(2건 조사 중).
17일 오후 늦게 구제역 의심신고 된 충남 예산군 신암면 돼지농장은 양성 판정됐고 대구 북구 연경동 한우농가는 정밀 검사 중이다. 충남 예산 신암면 돼지농장은 3천두 규모로 발생농장에서 15.3km지점이며 사료섭취 저하와 입주위와 콧등, 발굽에 수포 증상을 보였다. 반경 500m이내는 살처분 조치했다. 대구 북구 한우농가는 110두 규모로 발생농장에서 23.3km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거품섞인 침흘림과 콧물 증상을 보이고 있다. 18일 현재 구제역이 121차까지 공식 발생했으며 이번 의심신고 정밀 검사 결과는 오전 중에 나올 예정이다. 한편, 18일 현재 매몰두수는 2백만두를 넘어서고 있으며 정부 피해액도 2조원을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이천시 설성면 종계농장에서 AI가 발생했다. 이로써 AI 발생 시‧군은 이천을 포함해 10개로 늘어났다.방역당국은 지난 14일 폐사 증상을 보인 16만수 규모의 이천의 종계농장에 대해 정밀 조사한 결과, HPAI(H5N1)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58건의 AI 의심 신고 중 26건이 감염으로 확인됐으며, 161개 농장, 357만여수가 매몰처분 됐다. 또한, 충북 음성, 경기 평택, 경기 안성 2건, 충남 아산의 가금류 농장에 대해서도 AI 정밀 검사가 진행 중이다.
정부가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예방백신이라는 극약처방을 내린 이후 구제역 의심 신고가 줄어들면서 진정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5일 경북 청송과 16일 충북 제천 한우농가에서 각 1건의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되어 정밀 검사한 결과 양성으로 확인됐다. 구제역 백신 이전 5~6건씩의 의심 신고 접수되었던 것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이다. 이번에 양성으로 확인된 경북 청송군 진보면 한우농가는 인근 발생농장으로부터 5.1km, 충북 제천시 송학면 한우농가는 22.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구제역으로 현재까지(17일) 196만7천여두가 매몰 처분됐다.
충북 충주시 신니면과 동량면 한우농장, 경북 영양군 입암면 한우농장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발생했다. 신니면 한우농장은 17두 규모이며 발생지점에서 18.6km지점이다. 동량면 한우농장은 132두 규모로 발생농장에서 18.9km지점이다. 입암면 한우농장은 155두 규모이며 발생농장에서 8.2km지점이다. 충북 보은과 강원 강릉, 충남 홍성, 충북 충주 주덕읍 한우농장과 포항 사슴농장의 의심신고는 음성인 것으로 최종 판정됐다. 10일 이후 의심신고는 10일 3건 중 모두 양성, 11일에는 의심신고 3건 중 1건 양성, 12일에는 의심신고 4건 중 2건 양성, 13일 1건의 의심신고 중 1건 음성으로 감소하고 있어 구제역이 다소 진정되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