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낙농

낙농·연관산업 총생산 유발액 20조4,655억원

젖소 두당 생산유발액 1,866만원, 축종 중 가장 높아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조석진)는 17일 ‘낙농 및 연관산업의 구조와 발전방안’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금번 연구는 낙농과 우유·유제품, 사료, 동물약품, 기자재산업 등 전·후방 연관산업을 포함한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낙농이 지니는 경제적효과를 명확히 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낙농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낙농 및 연관산업의 총생산액은 4조 8,885억원, △낙농 및 연관산업의 총생산유발액은 20조 4,655억원, △낙농의 부가가치율은 축산부문에서 가장 높을 뿐 아니라 축산부문에서 유일하게 전 산업 부가가치율의 평균(30.1%)을 상회하며, △젖소 두당 생산유발액은 1,866만원(모든 축종 중 가장 높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낙농이 다양한 산업과 연계되어 있어, 생산유발효과 및 부가가치창출 등의 측면에서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결코 과소평가 할 수 없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낙농 및 연관산업의 총생산액 4조 8,885억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낙농업 1조 7,009억원, 낙농전방산업은, 우유 7,480억원, 유제품 1조 2,491억원, 아이스크림 5,867억원 등이며, 낙농후방산업은, 낙농사료 5,550억원, 낙농의약품 219억원, 낙농기계 265억원 등이다. 


낙농의 부가가치율은 42.3%로, 축산부문 내에서 가장 높을 뿐 아니라 축산업 중에서 유일하게 전 산업 부가가치율의 평균(30.1%)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낙농용의약품(35.1%), 아이스크림(31.6%), 유제품(23.4%), 우유(17.8%) 등의 순이며, 전방산업인 우유, 유제품, 아이스크림의 부가가치율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후방산업인 사료, 의약품, 기계는 감소추세를 나타냈다. 


낙농업 및 연관산업의 영향력계수(후방연쇄효과)1)는 우유(1.19), 낙농기계(1.12), 유제품(1.09), 낙농사료(1.08) 등이 1.0보다 크며, 낙농(0.97), 아이스크림(0.97), 낙농의약품(0.92)은 1.0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농 및 연관산업의 감응도계수(전방연쇄효과)2)는 모두 1.0을 하회하나 축산업 내부에서는 낙농이 0.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낙농 및 연관산업은 낙농의약품을 제외하면, 영향력이 감응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낙농 및 연관산업의 성장이 타 산업부문의 성장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타 산업부문으로부터 받는 영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다.

 

2010년 산업연관표 기준 낙농생산 1단위 증가가 전 산업에 직ㆍ간접적으로 유발하는 생산효과를 나타내는 생산유발계수가 2.11로, 전 산업평균(2.03)보다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전방연관산업은, 우유 2.59, 유제품 2.21, 아이스크림 2.12로, 전 산업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후방연관산업은, 낙농사료 2.36, 낙농기계 2.44로, 전 산업의 평균보다 높은데 비해 낙농의약품은 1.99로, 전 산업 평균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낙농 및 연관산업의 생산유발액합계는 총20조 4,655억원으로, 낙농 및 연관산업의 산업별 생산유발액은 모두 자체생산유발액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낙농의 생산유발액 3조 8,057억원, 전방연관산업 생산유발액 14조 4,469억원, 후방연관산업 생산유발액 1조 5,573억원, 육우산업 생산유발액(간접추정) 6,566억원 등이다. 


젖소의 두당 생산유발액은 1990년의 1,820만원에서 2000년에는 1,705만원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2010년에는 1,866만원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이는 2010년 현재, 같은 대가축인 한육우와 비교해 25.2%가 더 높으며, 모든 축종 가운데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낙농산업 발전방안으로는, △낙농 및 연관산업의 육성, △우유 및 유제품 소비촉진, △학교우유 및 군우유 급식확대, △생산비절감 및 사료가격안정, △원유가격연동제의 조기정착, △FTA발효에 따른 생산기반안정대책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낙농 및 연관산업은 타 산업부문에 대한 영향력계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낙농 및 연관산업에 대한 투자는 산업간 연쇄효과를 통해 국가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 조석진 소장은 “금번 연구에서 나타났듯이 낙농 및 연관산업이 지니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수준이다”라고 진단하면서, “우유가 이미 국민식생활의 필수식품으로 정착하였음을 감안할 때 국제화시대에 일정 규모 이상의 낙농생산기반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범정부차원의 낙농대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