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한우

한우 등심 마블링 높이는 유전자 찾았다

농진청, Fas 유전자 영역내 4개 SNP와 근내지방도의 연관관계 밝혀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한우 등심의 근내지방도(마블링)를 이른 시기에 진단할 수 있는 유전적 표지인자(DNA marker)를 개발했다. 

소고기는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풍미가 깊고 육즙이 많아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고급육으로 분류돼 높은 가격을 받는다. 

농촌진흥청은 통계 분석 방법으로 한우 단백질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Fas 유전자 영역 내 4개의 단일염기변이(SNP)가 근내지방도와 유의적인 연관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Fas 유전자 내 1번~4번 단일염기변이 중 1번~3번은 비단백질 영역(인트론)에, 4번은 단백질 영역(엑손)에 존재한다.

1번 단일염기변이의 경우 GC유전자형이, 2번은 AA유전자형이, 3번과 4번 단일염기변이는 GA유전자형이 다른 유전자형보다 높은 근내지방도를 보였다.

따라서, 한우 근내지방도를 높이는 4개의 단일염기변이는 농가에서 조기에 근내지방도가 높은 개체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전적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 4개의 유전자 마커들은 ‘한우 근내지방도 연관 분자표지를 이용한 한우 육질 진단 방법’이란 이름으로 현재 산업재산권을 등록(특허 제10-1376277호)했으며, 기술이전을 통해 한우 농가에 현장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김태헌 동물유전체과장은 “이번 기술은 한우의 근내지방도를 높이는데 중요하게 활용될 것이다” 라며, “앞으로 이 표지인자를 근내지방도가 우수한 송아지를 조기에 찾아내는데 활용함으로써 한우 농가의 소득 증대가 기대된다” 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아세아·태평양축산학회지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2016년 1월호에 실렸다.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