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돈산업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경북 경주지역 파란농장(최동진 사장), 청송농장(황윤섭 사장), 돈우빌농장(김남극 사장), 신화농장(임현욱 사장)의 젊은 일꾼들이 말하는 양돈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풀어나가야 할 것들이 무엇인자 허심탄회하게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1. 생산성 높이는 게 관건 파란농장 최동진 사장 : 돼지를 키우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할 부분이 생산성이다. 생산성이 어느 정도 전제가 됐을 때 양돈산업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된다. 현재 사료값 인상, 만성소모성질병으로 인한 폐사 등으로 양돈농가의 생산비는 늘고, 소비는 줄어들고 있어 농가의 피해가 생각보다 심각한 상태이다. 따라서 수입 돼지고기에 밀리지 않기 위해선 우선적으로 국내 양돈산업의 생산성을 전체적으로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돈우빌 농장 김남극 사장 : 양돈을 처음 시작할 때 매년 조금씩이라도 생산성을 높여나가겠다는 목표를 세웠었다. 한때 질병으로 인해 성적이 주춤했던 적도 있어 농장에서 돼지를 얼마만큼 잘 키우느냐가 중요한지를 알고 있다. 신화농장 임현욱 사장 : 돈사 시설에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잘 먹이고 잘 키워 최대한 많은 돼지를 출하시키는 게 양돈하는 사람으로서 제일 큰 행운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람을 위한 시설이 아닌 돼지의 입장에서 편할 수 있는 시설이 만들어져야 한다. 따라서 철저한 올인 올아웃, 격리돈사 설치, 환기와 습도 조절 등 돼지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을 때 생산성도 자연히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2. 양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전환 신화농장 임현욱 사장 : 우리나라에서 맘 놓고 돼지를 키울 수 있는 곳이 몇 군데 있을까 의문이다. 그만큼 사람들은 축산이라 하면 목놓아 자신의 지역에만은 않된다고 강력히 민원을 제기한다. 안정적이고 맛있는 돼지고기를 공급하기 위해 애쓰는 우리에게 주변 경관을 훼손시키고 악취를 풍기는 집단이라고 눈치를 보낸다. 따라서 돼지를 좀 더 좋은 환경에서 체계적으로 키워보려 여러 지역을 다녀봐도 그 지역 주민들의 반대에 두 손 들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다. 농지법 개정으로 축산용지가 확보되면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정작 들어가고 싶어도 문전에서 벽을 높게 쌓아버리지 않는가.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축산업의 중요성을 우리나라 국민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3. 가축분뇨 자원화 시급 돈우빌 농장 김남극 사장 : 2012년 가축분뇨 해양배출이 전면 중단된다고 한다. 경주지역은 액비화사업이 지역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활성화 정도에 차이가 크다. 경주지역은 대부분 해양배출에 의존하고 있는데 2008년부터는 본격적인 액비화사업에 모두 참여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양돈하면서 제일 큰 골칫거리 중의 하나인 분뇨는 축산하는 사람이 안고 가야할 평생의 숙제라고 생각한다. 다행히 서서히 경종농가도 토양을 생각해 비료 대신 가축분뇨를 사용해야 한다고 인식해 가고 있어 하루 빨리 우리 농장을 포함한 전국 양돈농가가 가축분뇨 자원화에 적극성을 띠어야 하겠다. 현재 돈우빌 농장은 가축분뇨를 액비화해 경종농가 50여 곳에 공짜로 뿌려주고 있다. 2004년부터 본격적으로 액비화를 시작해 본 결과 발효의 정도, 작물의 종류, 토양의 상태, 액비 살포 시기 등 고려해 볼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어서 농림부와 지자체 농업기술센터에서 축산농가와 경종농가의 다리 역할을 활발하게 해줬으면 한다. 4. 후계자 인력 양성 청송농장 황윤섭 사장 : 농축산업 후계자 양성 교육에 참여해 보면 축산업 분야에서도 양돈분야의 후계자가 제일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선진국의 경쟁력있는 축산물이 우리나라 시장을 공격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제일 필요한 것은 경쟁에서 살아남아야한다는 의지와 열정이다. 이런 의지와 열정은 그동안 양돈산업을 책임져온 어르신들의 뒤를 이을 젊음 사람들이 현장에 어느 정도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갈수록 양돈하기 힘들다는 소리가 커져가는 지금 젊은 인력들에게 양돈산업의 비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준다면 하고자 할 사람들은 많아질 것이 분명하다. 이를 위해선 정부뿐만 아니라 각 시·도 지자체, 지역별 기관 및 단체 등이 연계해 인력 양성 사업을 구체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