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생률이 높은 질환 중에 무릎 연골판 파열이 있다. 흔히 '반월상 연골'이라 불리는 무릎 연골판은 무릎 관절면 사이에 자리한 구조물로써 뼈에서 뼈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과 같은 기능을 한다.
또한 무릎 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고, 관절의 안정성 향상에 큰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무릎 연골판은 부드러운 조직이라 작은 충격만 받아도 파열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무릎에 발생하는 직접적인 외상이나 관절의 비틀림 및 회전으로 인한 압박으로 쉽게 파열되기도 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평소 생활 습관도 무릎 연골판에 영향을 준다. 쪼그리고 앉는 자세를 자주 하거나 무거운 짐을 나르는 동작을 반복하면 무릎에 압박이 가해져 무릎 연골판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중장년층이 넘어갈수록 퇴행성 변화로 인한 파열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므로 특히 조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릎 연골판에 파열이 생기면 무릎에 통증이 반복적으로 느껴지고, 무릎 관절 잠김 증상, 힘 빠짐 증상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조직의 파열로 인해 무릎이 부어오르기도 하니 이러한 증상들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한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조직에 경미한 파열만 발생한 환자는 약물 복용 및 주사요법, 물리치료, 운동요법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조직의 파열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거나 통증이 극심하여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비수술적 치료에도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파열 범위가 넓은 경우 등에서는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무릎 연골판 파열의 수술적 치료에는 봉합술 및 절제술, 이식술이 있으며 환자의 연골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전했다.
무릎 연골판은 스스로 재생되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파열이 점점 악화될 수 있다. 이는 무릎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초기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