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산란계

4.1. 산란계 사육과 계란 수급 동향

4.1.1. 산란계 사육 동향


◦ 2010년 상반기에는 산란용 닭 마리수가 증가하면서 계란가격이 전년대비 낮게 형성되었지만, 노계도태 증가와 함께 8월 이후 여름철 고온 스트레스로 생산성이 저하되면서 계란가격이 전년대비 높게 형성되었다.

이에 따라 2010년 하반기 신규 입식물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 이처럼 2010년 하반기 신규 산란 종계 입식물량 증가로 2010년 산란 종계 입식 마리수는 2009년(51만 8천 마리)보다 4.1% 증가한 53만 9천 마리로 나타났다. 이는 평년(44만 9천 마리)에 비해서도 20.0% 증가한 수준이다.

 


◦ 2009년 12월에 산란계 사육마리수가 6,297만 마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이후, 2010년 1~8월에는 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인해 계란가격이 낮게 유지되자 병아리 입식이 감소하고, 노계도태가 증가하면서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왔다.
◦ 하지만 8월 이후 여름철 고온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산란계의 생산성이 저하되어 계란가격이 전년대비 높게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병아리 입식이 증가하고, 노계도태가 지연되어, 2010년 12월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대비 감소하였지만, 전분기보다는 2.7% 증가하였다.

◦ 2010년 12월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6,170만 마리로 전년대비 2.0% 감소하였으며, 사육 가구당 마리수는 4만 마리로 전년대비 7.7% 증가하였다.
◦ 2010년 12월에는 2년만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가 재발하였다. 이로 인해 2011년 1월 26일 기준으로 산란계 130만 마리(2010년 12월 대비 3.0%)와 산란 종계 17만 마리(2010년 11월 대비 33.1%)가 매몰처분 되었다.

4.1.2. 수급 동향

◦ 산란계 배합사료 생산량을 기준으로 계란 생산량을 추정해 보면, 2010년 상반기에는 2009년 동기간보다 1.6% 증가한 28만 7천 톤으로 추정된다. 하반기에는 여름철 고온 스트레스로 사료 섭취량이 감소하였고, 산란율이 저하되어, 계란 생산량이 2009년 동기간보다 2.6% 감소한 28만 6천 톤으로 추정된다.

◦ 2011년 1월에는 HPAI 재발로 인해 산란계 사육 마리수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겨울철 한파가 지속됨에 따라 산란율이 저하되면서 계란 생산량은 2010년 동월보다 크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 2010년 구운란 및 계란 가공품 수입량은 계란 생산량 감소와 환율하락의 영향으로 2009년보다 34.5% 증가한 2,207톤이었다. 계란 가공품 수입량은 국내 소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2010년 기준 0.4%)이 매우 낮다.
◦ 2010년 구운란 수입량은 2009년보다 13.6% 증가한 543톤이었다. 계란가공품 중 난백은 2009년보다 68.0% 증가한 568톤이었으며, 난황은 2009년보다 33.1% 증가한 1,097톤이었다.

 


◦ 2010년에는 계란 소비 활성화를 위한 광고와 계란나누기 캠페인 전개, 인기리에 방영된 제빵관련 드라마로 계란수요가 증가하였지만, 계란 생산량이 감소하여,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전년보다 0.9% 감소한 11.8kg에 머문 것으로 추정된다.
◦ 과거 HPAI 발생으로 소비가 감소했던 것과 달리, 2010년 12월 말에 HPAI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계란수요는 크게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1년에도 계란 수요 유지 내지 증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소비자 조사에서 계란소비를 증가시킨다는 이유를 보면, 설 명절 소비용(증가 응답 중 44.6%)이 가장 높았으며, 가격이 저렴해서(30.1%) 순이었다. 감소시킨다는 이유로는 조류인플루엔자에 의해 안전성이 의심되어 (감소 응답 중 86.3%)가 가장 높았다. 현재 유통 중인 계란의 안전성에
대한 질문에는 보통이다(58.7%), 신뢰하지 않는다(20.8%), 신뢰한다(18.5%)순으로 나타났다.

 


4.1.3. 계란 가격 동향

◦ 2010년 평균 계란 가격은 2009년보다 3.5% 하락한 1,134원(특란 10개당)이었다.
◦ 2010년 1~8월에는 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계란 생산량이 전년대비 증가하면서, 평균 계란 가격은 전년동기 대비 11% 하락한 1,061원(특란 10개당)이었다.
◦ 하지만 8월 이후에는 산란용 사육 마리수가 감소하고, 산란계의 생산성이 저하되어 계란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제빵관련 드라마가 인기리에 방영되어 일시적으로 계란수요가 증가하면서, 평균 계란가격은 전년동기 대비 8.1% 상승한 1,244원(특란 10개당)이었다.
◦ 2011년 1월에는 산란계 사육 마리수 감소와 겨울철 산란율 저하 등으로 인해 계란생산량이 감소한 반면, 설 명절 수요로 1월 계란가격은 전년동 월 대비 23.3% 상승한 1,331원(특란 10개당)이었다.

4.1.4. 계란 소비패턴 분석

◦ 2010년 가구당 평균 4주간 계란 구매량은 37.7개로 2009년보다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평균 계란 구매량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계란 생산량 감소로 증가폭이 작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 한편, 소비자들의 계란 선택기준을 보면 신선도(40.1%)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안전성(23.9%), 가격(22.6%), 브랜드(6.5%)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소비자가 가격보다는 품질을 우선 고려함을 의미한다.

 


4.2. 계란 교역 여건 전망

◦ 한·EU FTA가 2011년부터 이행될 경우, 조란(구운란을 포함한 신선란 관세율 41.6%)은 15년에 걸쳐 관세가 철폐되며, 난황(관세율 27%)은 13년, 종란(관세율 27%)는 10년에 걸쳐 관세가 점진적으로 철폐된다. 한.미FTA가 2012년부터 이행될 경우, 조란은 15년, 난황은 12년, 난백(관세율
8%)은 5년에 걸쳐 관세가 점진적으로 철폐된다.

◦ 계란 가공품 수입물량은 주로 가공 식품(제과 및 제빵)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계란 가공품 수입물량이 국내 소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다 (09년 0.3%, 10년 0.4%). 따라서, FTA 발효가 국내 계란 산지가격과 소비자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중국산 계란의 경우 현재 가공식품(구운란)으로 수입되고 있으며, 중국산 계란에 경우 기타 국가에 비해 접근성에 이점이 있다. 중국내 가축질병문제(HPAI 등)가 해결된다면 중국산 수입량은 현재보다 더 증가할 수있다.

4.3. 산란계 사육 및 계란 수급 전망

4.3.1. 병아리 생산 잠재력


◦ 2010년 산란 종계 입식 마리수를 이용하여 2011년 상반기 병아리 생산 잠재력을 추정한 결과, 2011년 1분기 잠재력은 전년 동기보다 2.1%, 2분기는 6.5% 낮아 산란계 총 사육마리 수 감소세는 지속될 것으로 분석된다.

◦ 2010년 12월 HPAI 발생으로 산란종계 17만 2천 마리가 매몰 처분되었다.
매몰 처분 된 산란종계가 병아리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2011년 6월 이후 병아리 생산 잠재력은 더욱 큰 폭으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4.3.2. 산란계 사육 전망

◦ 산란계 사육 마리수 전망을 위해 다음과 같은 2가지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기본안에서는 HPAI 발생으로 인한 매몰처분 영향과 사료값 상승분을 반영하였고, 시나리오Ⅰ은 기본안에 산란종계를 기본물량(46만 1천 마리)외 20만 마리를 증량하여 수입하였을 경우를 가정하였다. 시나리오Ⅱ에서는 기본안에 사료값이 추가 상승하였을 경우를 반영하였다.

 


◦ HPAI 발생에 따른 매몰처분의 영향으로 2011년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2010년보다 3.0% 감소한 5,950만 마리로 전망된다. 기본안에서는 산란계사육 마리수가 2012년까지 감소하고, 그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란 종계가 추가증량 될 경우(시나리오Ⅰ), 산란계 사육 마리
수는 2011년에 감소 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국제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배합사료 가격이 기본안보다 상승할 경우(시나리오Ⅱ)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2012년까지 기본안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4.3.3. 계란 수급 전망

◦ HPAI 발생에 의한 매몰처분으로 인해 산란계 사육 마리수가 감소함에 따라 2011년 계란 생산량은 전년 대비 4.1% 감소한 55만 4천 톤으로 추정된다.
◦ 2011년 1인당 계란 소비량은 전년 대비 3.4% 감소한 11.4kg으로 전망되며, 계란 생산량 감소로 1인당 소비량은 감소하다가 2013년부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계란 생산량 감소에 따라 2011년 계란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15.9% 상승한 1,315원으로 전망된다. 2012~2021년 동안 계란 수요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지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기본안).

 


◦ 산란종계가 추가증량 될 경우(시나리오Ⅰ), 2012년 계란 생산량은 기본안 보다 증가하고, 계란 산지가격은 기본안보다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국제 곡물가격 상승에 따른 배합사료 가격이 기본안보다 상승할 경우(시나리오Ⅱ), 2012년 계란 생산량은 기본안 보다 감소하고, 계란 산지가격은 기본안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