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품질평가원 제주지원(지원장 원광연)은 오는 7월 28일부터 ㈔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지회장 박창석), ㈜앤틀러(대표 나영준)와 함께‘2025 제주 한우농가 업그레이드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키우는 재미, 버는 보람”이라는 슬로건 아래, 제주지역 한우농가의 경쟁력 강화와 소득 향상, 지속가능한 축산 기반 마련을 목표로 추진되며, 실질적인 교육과 현장 중심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한우농가가 직접 체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장의 기대감도 크다. 한우 농가를 위한 교육은 △암소개량 △축산데이터 활용 △데이터 기반 농장 경영 △사양‧질병관리 등 모두 4개 분야 교육과정으로 제주시와 서귀포시 권역별로 운영되며, 암소개량 분야는 고봉석 대표(무안 거기한우), 데이터 기반 농장 경영은 정왕용 대표(정읍 서우목장), 축산데이터 활용 나영준 대표(㈜앤틀러), 사양관리 및 질병관리는 강기웅 원장(우사랑 동물병원)이 맡아, 제주지역 여건에 맞춘 실용적인 핵심 지식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2024년 제주 한우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축산물품질평가원 제주지원과 ㈔전국한우협회 제주도지회, ㈜앤틀러가 체결한‘제주 한우농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20일 오전 집중호우로 침수 피해를 입은 충청남도 부여군 소재 시설원예 농가를 방문하여 피해 농가를 위로하고, 응급 복구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기상청에 따르면 7월 16일부터 20일 7시까지 경남권의 경우 산청에 793.5mm, 합천 699.0, 하동 621.5mm의 비가 내렸으며, 충청권 서산 578.3mm, 담양 552.5mm, 전라권 광주 536.1mm, 구례 534.0mm 등의 기록적인 비가 내렸다. 이번 호우로 농업분야 피해는 7월 19일 17시 신고 기준으로 벼, 논콩, 멜론, 수박, 고추 등 농작물 24,247ha가 침수되었으며, 가축은 소 60두, 돼지 829두 닭 93만수 등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잠정 집계되었으며, 정확한 피해 면적은 향후 지자체 정밀조사 등을 통하여 결정된다. 지역별로는 비가 집중된 충남지역에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했으며, 전남이 그 뒤를 이었다. 농식품부는 신속한 재해복구비 및 재해보험금 지급을 위해 지자체와 협업 체계를 가동하고 가용한 농업재해보험 조사 인력을 최대한 투입하는 등 대응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호우 이후 병해충 방제 및 작물 생육 회복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