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16일 농식품부는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현재 347개 사업 중 2014년까지 259개로 통폐합하고, 이 과정에서 20여개의 보조사업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폐지대상에 축산업분야 FTA 정부 핵심대책인 축사시설현대화 사업과 축산분뇨시설 지원사업이 버젓이 이름을 올리고 있어 눈과 귀를…
송아지값 100만원도 안돼, 한우 값 폭락 대책 마련하라! 지금 한우농가는 죽을 지경이다. 정부와 국회의 위정자들은 농촌의 현실을 알고나 있는가? 농민들이 사료값 폭등과 소값 폭락으로 빛에 허덕이다 삶을 비관하여 자살을 하고 이런 일들이 언론에 보도되어야 대책을 만든다고 난리를 칠 것인가! 우리 한우…
올해 사상최대 돼지고기 수입 폭증 … 이미 전년대비 2배 육박 FTA 완전발효 전에 양돈산업 붕괴시키는 음모를 중단하라.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급등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11월 물가가 4.2% 상승해 3달만에 다시 4%대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물가관리가 총체적 난국에 빠진 것이…
수십년 가꾸어 온 삶의 터전에서 내모는 축산농가 말살정책 철회하라1. 2011년 11월 22일, 정부와 집권 여당은 한·유럽 FTA에 이어 한·미FTA 비준안마저 일방 통과시킨데 이어 가축사육제한구역 지정이라는 악법을 내세워 노골적인 축산업 죽이기에 나서고 있음에 현장 축산농민의 분노가 하늘을 찌르…
어제(11.24) 한나라당은 국회 본회의 일정이 24일로 잡혀있음에도 불구하고 한미 FTA 비준 동의안을 직권 상정해 통과시키고 말았다. 이 협상은 국민적 합의도 피해당사자의 의견수렴도 제대로 하지 않고 이대통령의 귀국에 맞춰 한나라당이 일방적, 졸속적으로 진행, 결국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고 비준되…
- 양돈업계가 요구한 대책을 조속히 시행할 것을 강력 촉구한다 - 전국의 양돈농가를 비롯해 350만 농축산인들의 강력한 반대 속에서도 국회는 경호권까지 발동해가면서 한-미 FTA 비준 동의안을 직권 상정 통과시켰다. 한-미 FTA가 발효될 경우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양돈업계로서는 그동안 정부와 국회에…
- 한미 FTA 국회비준에 찬성한 151명의 국회의원들은 농민의 심판을 각오하라 - 한미 FTA 국회비준동의안이 금일 강행처리 되었다. ‘한미동맹, 미국의회 비준’이라는 정치적 이유를 내세우더니, 정부와 여당이 의도한 대로 강행처리라는 무리수를 두고 말았다. 민심이, 농민의 마음이 진정으로 무서웠다…
오는 18일 최초로 간선제로 치러지는 선거에서 선출될 농협중앙회 회장은 우리 농업인들이 그토록 주장해온 신경분리 개정안의 최종 책임자로서 막중한 임무와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우리 농업의 생존권을 뒤흔드는 한미FTA 비준에 대한 농업ㆍ농촌 회생대책을 강구하여야하는 자리로써 그 어느때 보…
지난달부터 한미 FTA 국회비준이 오늘 내일하면서 지금까지 미루어져오고 있다. 우리 한우농가들은 하루하루를 불안과 초조함속에 일손도 놓은 채 속앓이로 가슴이 새까맣게 타들어 가고 있다. 올해 여야정 협의체가 구성, 지속적으로 농수산분야의 보완대책을 논의하면서 한미 FTA에 대한 추가 대책을 준…
한우농가 위한 실질적 FTA 대책이 있는가융자는 필요없다! 보조정책 마련하라!정부가 한미 FTA 국내보완대책 발표를 앞두고 있다. 2007년 4월 한미 FTA 체결 이후 많은 대책이 발표되었고 올해 여야정 협의체가 지속적으로 농수산분야의 보완대책을 논의하면서 한미 FTA에 대한 추가 대책을 준비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