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9일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가 주최하고,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사장 김덕호, 이하 식품진흥원)이 주관하여 개최한 `2025년 식품진흥원 국제콘퍼런스’가 성황리에 종료됐다.
온·오프라인을 통해 총 2,500여 명이 참여한 이번 행사는 초고령사회 대응, 미래 식품 기술 혁신과 K-푸드의 글로벌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동시에 다루며 참가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1부에서는 '슬기로운 고령친화식품산업 생활'을 주제로 한 심포지엄을 통해, 다가오는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정책과 산업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정부 정책 방향 발표를 시작으로, 우수한 품질의 고령친화식품 개발을 위한 기업 전략과 일본,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의 사례를 공유하여, 고령자의 삶의 질 향상과 고령친화식품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었다.
2부, `Future Food Nexus: 식품산업의 경계를 넘다`라는 주제로 한 제15회 국가식품클러스터 국제콘퍼런스는 CJ제일제당 남경화 상무의 '글로벌 식품 R&D 핵심 전략' 기조연설로 포문을 열었다.
이어지는 푸드테크 세션에서는 WFP(세계식량계획)의 장 마틴 바우어 국장이 데이터 기반 식량 안보 전략을, 배양육 선도 기업 Mosa Meat의 마르크 포스트 대표가 배양육 산업 전망을 제시했다. 또한, CNT 테크의 전화성 대표는 식품진흥원의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푸드테크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마지막 글로벌 확산에 초점을 맞춘 수출 세션에서는 LK international 레나트 캠퍼 대표가 K-푸드 수출 확대 전략을, Cluster FOOD+I 후안 비에호 대표가 유럽의 식품 트렌드를 분석하며 국내 기업의 글로벌 진출 로드맵을 제시했다.
김덕호 식품진흥원 이사장은 "이번 콘퍼런스는 고령친화식품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과 푸드테크 및 K-푸드를 통한 혁신 성장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조명한 중요한 자리였다"며, "식품진흥원은 앞으로도 식품산업이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엔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식품진흥원은 이번 콘퍼런스의 핵심 내용을 담은 자료 및 영상을 공식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국클TV)을 통해 공개하여, 누구나 식품산업의 미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